• 제목
    2026 본바탕 1권 6회질문
    2025.02.11 13:43:38
  • 3번문제를 처음봤을때 ㄱ 판단이 안되서 마지막 문단과 보기의 결론지점이 같은것을 이용해서 ㄱ(모름) ㄴ낮음 ㄷ낮음 이런식으로 풀었는데, 다풀고 해설을 보니까 본문을 이용해서 증기압과 끓는점의 반비례관계를 찾더라구요. 20분 동안봐도 도저히 이해가 안되서 ㄱ을 나름대로 판단해봤어요. 어차피 두 물질의 끓는점의 상대적인 고저만 파악하면되니까 온도랑 증기압의 비례관계를 이용해서 주어진문장을 특정증기압에서 pCBs보더 낮은 온도를 지닌 물질이 끓는점에 더 늦게 도달한다(끓는점이 더 높다)(이때 변수는 기압이아닌 온도이고 이를 높인다 가정해서 판단) 이런식으로 바꿔서 풀었는데 괜찮을까요? 증기압이 물질마다 다르기에 말자체는 틀렸다는걸알지만 물어보는내용이 보기를 저렇게 바꿔도 답찾는데 지장이 안갈거같아서요 이렇게 풀어도 되나요?
  • 작성자손*준
  • 첨부파일
    • 바탕국어연구소
    • 2025.02.12 10:12:37

    안녕하세요. 바탕 국어연구소입니다.

    적절한 이해입니다.

    끓는점은 액체의 증기압력이 외부압력과 같아져 액체가 끓기 시작하는 온도를 가리킵니다.

    이때 액체의 온도가 높을수록 증기압력이 큰데요. 분자 간 힘이 작은 액체이수록 같은 온도에서 증기압력이 큽니다. 분자간 인력이 작으면(끓는점 낮음) 증발이 잘되고 휘발성이 커서 증기압이 큽니다. 이 지점에서 증기압과 끓는점이 반비례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해당 문제에 대해서 어렵다고 느끼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혹시 궁금한 점이 있을 경우 언제든지 편하게 또 질문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