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바탕 화작 4회 4번 5번선지
    2025.09.24 11:05:50
  • 관점: 사물을 관찰하거나 고찰할 때 그것을 바라보는 방향이나 생각하는 입장

    관점에 사전 뜻에 바라보는 방향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4번에 5번선지에 관점의 전환을 유도하고 있다는것이 틀린게 납득이 되지 않습니다. 추진 과정과 성과에 관해 이야기를 하다 학생1이 활용 빈도는 높지 않음을 언급하며 어떻게 해결할까? 라고 질문하여 공공데이터의 활용 빈도로 관점을 전환을 유도했다고 생각했는데 틀린 이유가 뭔가요?

  • 작성자김*민
  • 첨부파일
    • 바탕국어연구소
    • 2025.09.28 18:20:02

    안녕하세요. 바탕 국어연구소입니다.

    관점의 전환은 단순히 세부 논점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대상이나 주제를 바라보는 큰 틀의 시각이 달라지는 것을 말합니다.

    지문 대화를 보면 학생들은 처음부터 공공데이터 활용을 활성화하려면 어떻게 할지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학생 1이 “공공 데이터 개방이 양적으로 대폭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어. 하지만 활용 빈도는 그만큼 높지 않은데, 이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라고 한 말은, 같은 주제(공공데이터 활용) 안에서 ‘개방 양’에서 ‘활용 빈도’로 세부 초점을 옮긴 것에 불과합니다.

    즉 추진 과정/성과 → 활용 빈도라는 흐름은 논의 범위의 이동(세부 쟁점 전환)이지, 공공데이터를 바라보는 근본적 시각이나 입장을 바꾸었다고 볼 수 없습니다. 수능 화작에서 관점의 전환이 성립하려면 예를 들어 “공공데이터 개방이 중요하냐 여부”에서 “개방 그 자체가 불필요하다”처럼 문제 바라보는 방향 자체가 달라져야 합니다.

    따라서 학생 1의 발언은 “활용 빈도라는 새로운 세부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는 볼 수 있지만, 관점의 전환을 유도했다라고까지는 판단하지 않기 때문에 선지가 틀린 것으로 처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