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바탕 하프모의고사 1권 8회 라이프니츠의 우주론적 논증
    2025.09.25 13:37:57
  • 충족률 제 1원칙에 따라 무한 소급되는 세게 즉, 모든 존재자가 의존적 존재인 경우에는 인과연쇄라는 존재자에 관한 사실을 설명할 수 없으므로 충족률을 만족하기 위해 모든 존재자가 의존적 존재자인 것은 아니다. 라는 결론이 지문 후반부에 제시되어 있는데요.

    그렇다면 e1 e2 e3… en… 와 같이 무한 소금되는 상황에서 모든 존재자가 의존적 존재자가 아니라는 결론은 끝에오는 en이 (계속 바뀌겠지만) 의존적 존재자가 아니라는 말인지 혹은 또 다른 존재자를 상정해 연쇄가 있도록 하는 어떠한 존재가 있다는 말인지 궁금합니다.
  • 작성자윤*랑
  • 첨부파일
    • 바탕국어연구소
    • 2025.09.28 18:10:46

    안녕하세요. 바탕 국어연구소입니다.



    C1-C2-C3-...-Cn이라는 인과 연쇄에서, C2가 C1의 '존재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라이프니츠에 따르면, 이러한 인과 연쇄가 무한히 이어진다면, 즉 모든 존재자가 인과 연쇄에 속한다면, 이 사실을 설명해 줄 근거로서의 존재자 역시 그 설명 대상인 인과 연쇄에 속하게 되는 것이므로, 모든 존재자가 인과 연쇄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설명해 줄 존재자가 없게 됩니다. 이는 충족이유율 제2원칙과 어긋나게 되는 것이고요. 다시 말해, 라이프니츠에 따르면 설명의 대상(인과 연쇄에 관한 사실)에 속해 있는 존재자, 예를 들어 위 인과 연쇄에서 C2라는 존재자는 C1의 '존재 근거'가 될 수는 있지만 '인과 연쇄 전체(대상)에 대한 설명의 근거'가 될 수는 없는 것이죠. 이와 같이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