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바탕 국어연구소입니다.
투자 기회선 위의 점에서 투자액은 일정하지 않습니다. 투자액은 현재 소득에서 현재 소비를 뺀 값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그래프 위의 점이 좌우로 이동할수록 현재 소비가 달라지고 그에 따라 투자액도 변합니다. 즉, 가로축이 작을수록 현재 소비가 적고 투자액이 많으며, 가로축이 클수록 현재 소비가 많고 투자액이 적습니다. 최적 투자 수준은 시장 기회선이 투자 기회선에 접하는 점에서 결정되며, 그 점에서만 최적 투자액이 정해집니다. 다른 점에서는 투자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에서 (W, Y)가 (X, Z)보다 좌측에 위치한다면 현재 소비가 적고 투자액이 더 크므로, 선지의 서술은 적절합니다.
저번에 투자액에 대한 질문을 하고 받은 답변입니다. 답변에서 투자액은 ‘현재 소득 - 현재 소비’로 정의되고, 최적 투자 수준과 관련있는 것은 최적 투자액이라고 나누어서 말하셨습니다. 그런데 지문에 있는 투자액의 정의를 그대로 인용하면 ‘기업의 최적 투자 수준의 가로축 값과 기업의 최적 투자 수준이 결정되기 전 시장 기회선의 가로축 값에 나타난 기업의 현재 소득 사이의 간격’입니다. 이 정의만을 따른다면 투자액의 정의를 답변해주신 대로 받아들일 수 없지 않나요?
작성자김*후
첨부파일
바탕국어연구소
2025.10.10 08:41:30
안녕하세요. 바탕 국어연구소입니다.
투자액은 투자 전후의 소득 비교를 통해서 알 수 있기 때문에 기업 최적 투자 수준결정 이전 시장 기회선상에서 알 수 있는 기업의 현재 소득과 비교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